목차
Ⅰ. PBL 시나리오(환자 히스토리)
Ⅱ. 간호정보조사지
Ⅲ. 약물
Ⅳ. 검사 결과, 임상 의의, 종합적 의의
Ⅴ. 간호사정
Ⅵ. 간호진단
1. 조직 손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3.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Ⅶ. 간호과정
-1번, 2번 진단의 간호과정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본문내용
여OO님은 62세 여환으로 1996년 3월 Both salpingectomy d/t ectopic pregnancy 시행한 수술력 있으며 2020.10.13. 고혈압 진단받아 아모잘탄플러스 정 5/50/12.5mg PO bid로 투여중이었다. 2018.09.24. Osteoprosis진단 받아 2018.09.25.부터 칼디온정 1tab PO bid로 투여 중인 과거력 있으신 분으로, 2021년 12월 8일 NRS 2점 정도의 우측 옆구리 통증으로 타 병원 비뇨기과 진료 결과, CVAT(+), CT 검사 상 APN, Rt. pelvis stone(14mm), hydronephrosis fluid collection in Rt pararenal Space, Fetty liver 소견 보여 LMC(구병원) 입적하여 치료 시작하였으며 Liver fetty 치료 위해 레가론 캡슐 140mg PO 1tab bid 로 투여중이었다. 그러다가 2021.12.09. 발열 지속되고 WBC 21,300/μL, CRP 17.7mg/dL로 증가 보여 4일간 IV를 통한 meropenem 1g/V q8h를 투여하며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증상 호전 없어 추가 w/u 및 치료 위해 본원 2021.12.13. ER에 내원하였으며, 요배양 검사 결과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2021.12.13. 자차 타고 ER 오전 11시 45분 경 직접 내원하였으며 내원 당시 V/S 체온 36.5℃ , 맥박 78회/분, 호흡 20회/분, 혈압 126/83mmHg, SpO2 98%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