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승모판폐쇄부전증 CASE STUDY(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을 위한 신체사정
3. 간호대상자의 진단을 위한 검사(일반 생화학검사, 방사선 검사, 특수검사)
4. 치료 및 간호 (내과적 -약물 -요법․식이요법, 외과적-수술요법, 특수치료법)
5.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병태생리, 원인, 증상, 치료, 간호)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질환명
Mitral (valve) insufficiency
병태생리
승모판 부전이 있는 경우, 좌심실이 수축할 때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되어 심박출량이 감소되고,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 유입이 증가함으로써, 용적과부하가 온다. 좌심실은 대동맥과 좌심방 양쪽으로 혈액을 보내게 되어 후부하가 감소되며, 박출률이 증가하여 유효 심박출량은 정상을 유지한다. 한편 좌심방은 역류 혈량에 적응하여 확대되어 좌심방압도 떨어져 심한 활동에도 호흡곤란을 느끼지 않고 증상 없이 지낼 수 있다. 그러나 보상상태가 지속되다가 좌심실수축력이 감소되면 궁극적으로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좌심방압은 다시 상승된다. 이 상태에서의 좌심실 기능 이상은 가역적이어서 치료의 목표는 비가역적 손상이 오기 전에 판막 치환을 하거나 성형을 하는 것이다. 승모판기능부전이 건삭이나 유두근이 단절되어 일어나는 급성에서는 역류 혈액량에 따라 좌심방압은 증가하고 전방 심박출량은 감소하여 전신 쇠약감과 폐울혈로 인해 호흡곤란과 앉아숨쉬기를 호소하게 된다.

원인
문헌조사
– 주원인: 류마틱열, 감염심내막염
– 판막의 퇴행성 병변
– 승모판탈출증
– 비후성 심근증
– 판막과 좌심실 벽을 연결해 주는 끈이 끊어지면서 심한 폐쇄부전증 발생
– 판막의 선천적 이상
– 심장의 종양 등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