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증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1개)

목차

1.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자료수집
2. 간호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 간호사정 요약 ]
대상자는 2022년 02월 21일 문구점에서 물건 구입 중 양쪽 가슴이 조이는 양상의 chest pain이 나타나 00대학교 병원 ER에 내원한 상태이다. 과거력에는 Lt 백내장 operation이 있었다.
신체검진 상으로는 흉부 청진 시 악설음이 들리고 약간의 호흡곤란, 기침, 기침 시 객담배출이 있었다. 이외에 특이사항은 없었다.
Hematology에서 WBC는 2월 21일(16.77), 2월 24일(11.78)에 정상수치에서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CAG(Coronary Angiography)시술 후 4시간 뒤에 측정한 Hematology 결과로 침습적인 시술로 인한 염증 및 감염의 결과로 보인다. Hb(hemoglobin)와 Hct(hematocrit)은 각각 3월 4일에 (Hb, 13.6), (Hct, 40.0)으로 정상수치에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상자의 과잉 수분 섭취로 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Seg. Neutrophills은 2월 21일(85.2), 2월 24일(75.9)에 정상수치에서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CAG로 인한 급성감염 또는 심근경색으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Lymphocytes는 2월 21일 (9.1), 2월 24일(17.1), 3월 4일 (19.6)에 정상수치에서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점차 증가하고 있는 수치를 통해 심장질환으로 인해 낮아진 Lymphocytes가 치료를 통해 회복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Blood Chemistry에서 T. Calcium(8.3), I.Phosphorus(2.2)는 2월 24일에 감소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CAG와 PCI 시술로 인한 금식(총 12시간)으로 인한 영양부족 상태로 볼 수 있다. Glucose(FBS)는 2월 21일(194), 2월 24일(221), 3월 4일(157)에 정상수치보다 증가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대상자의 불안정한 혈당 위험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