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ESRD 문헌고찰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와 간호
6.합병증
Ⅱ. 본론
1.건강사정
2.진단 및 치료
1)진단검사
2)약물
3)처치
3.치료 경과 및 계획
4.간호진단
5.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에 대한 이해
1.정의
1)콩팥 기능상실(신부전-renal failure)
: 콩팥이 축적된 혈중 대사물질을 제거하지 못해 수분, 전해질, 산-염기 균형의 변화가 발생한 상태이다.
(1)급성 콩팥 기능상실(급성 신부전-Acute renal failure-ARF)
: 콩팥기능이 빠르게 감소되어(수시간에서 수일) 질소혈증과 수분, 전해질 불균형이 나타난다.
(2)만성 콩팥 기능상실(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CRF)
: 콩팥기능이 심각하게 저하되어 치료로 회복이 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태를 말한다. 세계신장학회는 콩팥의 손상이 나타나거나 3개월 이상 사구체여과율이 분당 60mL이하로 떨어졌을 경우를 만성 콩팥기능상실로 정의하였다.
2)말기 콩팥 기능상실(말기 신질환-End Stage Renal Disease-ESRD)
: 말기 신질환은 신장의 기능이 정상인의 10% 이하로 감소하여 생명 유지가 불가능하게 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사구체 여과율이 분당 15mL이하일 경우 말기 콩팥기능상실이라 말한다.
2.원인
①만성 신부전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처치를 하지 않은 경우
②신부전에 대한 치료를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콩팥의 기능이 지속적으로 악화된 경우
③급성 신부전이 회복되지 않아 곧바로 말기 신질환으로 진행되는 경우
→말기 신질환은 주로 만성 신부전에서 비롯된다.
<만성 신부전의 원인>
사구체 기능장애
요로계 폐색
전신 질환
기타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콩팥병
⦁고혈압성 신경화증
⦁전립샘, 방광 종양
⦁림프절병
⦁요관 폐색
⦁결석
⦁겸상적혈구빈혈
⦁피부경화증
⦁결절다발동맥염
⦁전신 홍반 루푸스
⦁HIV 관련 콩팥병
⦁혈관염
⦁만성신우신염
⦁콩팥증후군
⦁다낭포낭콩팥
⦁콩팥 괴사
⦁콩팥독성 물질
⦁다발골수종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