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THRA
목적: 관절의 통증을 없애고 관절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
적응증
고관절염, 고관절의 이형성증, 선천성 고관절 탈구, 외상, 감염, 특발적인 원인에 의해 고관절에 통증이 발생하고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 수술을 시행한다. 즉, 관절염 대상자에게 보존적 치료의 실패, 심한 활동장애, 통증 등이 있는 경우에 적용된다. 방사선 촬영을 통해 확인되는 관절의 변형보다는 대상자의 주관적 호소가 수술을 결정하는데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고관절전치환술은 대퇴경부골절로 인해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선천성 질환이나 기형 또는 이전에 실시한 고정술이 실패한 경우에도 시행한다.
– 보존적 치료나 목발, 지팡이를 사용해도 일상생활이 어려운 환자
– 일상생활이 불가능 할 정도로 통증을 느끼시는 분
– 관절에 통증이 수시로 껴지고 가만히 있을 때도 통증이 있는 분
– 약물, 물리치료, 주사 등 치료로도 호전되지 않고 통증이 지속되는 분
수술방법
시멘트 방식
–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인공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수술과정 중에 대퇴와 관절구를 즉시 고정하는 것이 가능
– 노인층 또는 골다공증으로 뼈의 강도가 저하된 대상자에게 적용
비시멘트 방식
– 관절구 표면에 구멍이 있는 보철을 사용
– 보철은 구멍이 있는 표면 위로 골세포가 성장하여 서로 얽힘으로써 자연적인 접착이 이루어짐
– 수술 후 수 주 동안 체중부하를 제한해야함
– 활동적인 젊은 층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대상자에게 적용
수술 중의 노출방식
수술적 접근은 (1)전측면, (2)측면, (3)횡전자, (4)후측면 으로 분류
(1) 전측면
1. 대상자를 수술대 위에 앙와위로 눕게 한다.
2. 수술받을 고관절을 외회전과 동시에 신전시키고 무릎은 굴곡시킨다.
(2) 후측면
1. 대상자를 옆으로 눕게 한다.
2. 수술받을 고관절을 내회전과 동시에 굴곡시키고 내전되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