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 실습A+] 교수님 극찬 ORIF 자세한 수술 과정/간호과정 1개(감염의 위험)

목차

1. ORIF 수술 소개(사진 첨부한 수술 과정 포함)
2. 수술 전/중/후 사정과 간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C. 대상자의 질병, 수술에 대한 일반적 소개

1. 골절(fracture)의 원인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한 골절
–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으로 인해 생긴 골절
간접적인 외상으로 인한 골절
–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생긴 골절
병적골절(불충분골절)
–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로 인해 생긴 골절
피로골절
–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
– 군인이나 전문적인 운동선수들에게서 장거리 행군이나 반복된 훈련 후 발생

2. 골절(fracture)의 병태생리
뼈는 분필처럼 부스러지는 것이 아니라 질기고 탄성이 있어 부딪히거나 뒤틀릴 때 튼튼한 나뭇가지처럼 반응하며 정상적으로 뼈는 어느정도 내적인 저항력이 있으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뼈의 탄성 한도, 즉 뼈가 견디어 낼 수 있는 흡수점 이상에 이르게 될 경우 골절이 발생한다.

3. 일반적 증상 및 증후
골절의 형태와 위치, 관련 조직의 손상 유무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통증, 압통, 기능상실, 변형, 위축, 국소부정, 반상출혈, 마찰음 등이 나타난다.

4. 골절 치료 및 간호
– 치료 목적: 손상된 부위가 합병증 없이 최대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외관상 보기좋은 결과로 환원하는 것

정복
(reduction)
골절편을 해부학적 위치로 재정립함
고정
(fixation)
골절 치유가 충분히 이루어질 때까지 정복된 위치를 고정함
재활
(rehabilitation)
근육, 관절, 건의 기능을 다시 찾음

① 수술(ORIF)의 목적 및 적응증
골절로 인해 뼈가 적절한 선열에서 벗어난 경우 또는 관절면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골절부의 정복을 시도한다. 비개방교정이 불가능하거나, 관혈적정복으로 정확한 정복을 하지 않을 경우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골절 주위 신경이나 혈관의 동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등에서 개방정복술을 시행한다.

② 방법
1. 전신마취 하에 supine position을 위치하게 하고 마취 후. sitting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2. 골절 부위의 cast(붕대)를 풀고 골절 부위를 노출한 후 C-arm으로 골절부위를 확인한다.
3. upper extremity에 betadin과 Alcohol을 통해 draping 한 후 멸균포로 대상자를 덮고 수술부위만 노출시킨다.
4. knife(metzenbaum)로 수술 부위 15cm를 incision한 후 골절이나 해당 관절을 덮고 있는 부위의 연부조직을 curette과 knife를 통해 절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