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6. 결론
7. Reference
본문내용
김00씨는 69세의 남환으로 저녁 식사 도중 발생한 한 시간 가량의 앞가슴이 터질듯한 통증과 금일 기상 이후 가슴이 먹먹한 느낌이 들어 응급실에 내원했다. Acute myocaridal infarction(NSTEMI) 진단하에 집중치료위해 CCU로 입실하였다. 의식은 명료했고, 몹시 아파보이는 외관을 보였다 과거력으로 2012년 STEMI 진단 및 PCI 시술을 하였고, 2013년과 2022년 CAG f/u을 했다. 키 167cm 몸무게 70kg이고 알레르기•가족력은 없다. 당뇨는 있으며 과거 30년동안 1갑 반/일의 흡연력과 한 병/주의 음주력을 가지고 있다. 최근 투약으로는 동맥경화용제, 고혈압약물, 고지혈증 치료제, 혈관확장제를 외래 통해 투약했다.
입원일(사정 1일)인 12월 26일 16시 V/S은 T/P/R = 36.4도/87회/분/19회/분, BP = 126/82mmHg, SpO2 : 99%이었다. 주증상은 흉통이고 “자고 나서도 앞가슴이 먹먹한 느낌이 지속되었어요.”라고 말하며 NRS 척도 4점이었다. heparin 2만 unit + 50W 500ml : 20ml/hr로 주입중이며 출혈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왼쪽 동맥관 삽입하였고 감염 증상 사정하였다. EKG 결과 NSTEMI를 보였고 LAB DATA 심장 표지자 검사에서 CK-MB 24.64 Troponin-T 0.357 Pro-BNP 384.7 D-dimber1.529 FDP test2.91 LDH266 AST50 pH7.344 PCO255.0 PO214.5가 관찰되었다.
사정 2일인 12월 27일 V/S은 T/P/R = 36.2도/71회/분/19회/분, BP = 132/76mmHg, SpO2 : 99%이었다. 동맥관 주변 감염증상 관찰되지 않았고 EKG 상 T wave의 역전이 있는 정상 리듬이 관찰되었다. apTT 54.0으로 관찰되어 heparin 2만 unit + 50W 500ml : 24ml/hr로 증량했다. 오른쪽 팔의 미세한 부종 및 호흡수 29회, 25회 관찰되었다. 처방난 산소를 비강 캐뉼라를 통해 6L/min 투여하였다. Hct40.8 Monocyte %9.70 Procalcitonin 0.17 PDW11.4 aPTT54.5가 관찰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