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ADHD의 시간 지각 결함
2. 시간 지각에 정서가 미치는 영향
3. ADHD의 정서적 간섭 통제(emotional interference control) 결함
4. 연구 가설
5. 실험 결과
본문내용
1. ADHD의 시간 지각 결함
· ADHD 아동의 억제 능력 결함이 시간 감각을 포함한 작업 기억에서의 부진함을 초래하고, 이는 결국 자기 조절과 미래를 위해 행동을 조직화하는 것을 어렵게 만듦(Barkley, 1997).
그림 1. Internal-Clock Model (Gibbon et al., 1984)
· ADHD 아동: 비교적 짧은 시간(12초, 24초)은 일반 아동에 비해 더 길게 인식 but, 긴 시간(48초, 60초)은 더 짧게 인식(Barkely, Kopolowitz & Anderson, 1997).
· 초기 성인기 ADHD: 통제 집단에 비해 재산출 과제 수행 저하(Barkley, Murphy & Bush, 2001).
· ADHD: 재산출 과제 수행 저하(Meaux & Chelonis, 2003)
· 시간 변별 과제 결과, ADHD 아동의 시간 변별 역치가 50ms에서 더 높음(Smith, Taylor, Rogers, Newman & Rubia, 2002).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