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문헌고찰-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투석의 종류
2. 사례연구-개인력, 건강력, 간호력, I/O, 약물 등
3. 간호진단- 5개
4. 간호과정- 3개
5. 문헌고찰
본문내용
1. 정의
만성 콩팥병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장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질병
상태를 의미한다. 만성 콩팥병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진다.
– 1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90이상으로 정상이지만, 신 손상의 증거인
소변 검사의 이상 혹은 신장 요로계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동반된다.
– 2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60-89로 약간 감소된 상태이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은 없으며, 기저 질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 3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30-59로 중등도로 감소된 상태이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며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 4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15-29로 심하게 감소된 상태이다. 신장내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투석 혹은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에 대한 준비한다.
– 5단계: 신장 기능의 지표인 사구체여과율이 15미만으로, 투석 혹은 이식과 같은
신대체요법의 시작을 고려해야 한다.
2. 원인만성 콩팥병의 원인은 지역과 나이에 따라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만성 콩팥병의 원인은 당뇨, 고혈압, 사구체질환, 다낭신 등이다. 말기 신부전으로 투석을 받는 환자의 원인 질환 분포를 보면, 당뇨가 49%, 고혈압 21%, 사구체질환이 10% 정도이다. 그 외에에도 혈관 질환, 유전성 신장 질환, 선천적 요로계 기형, 요로 폐쇄, 아밀로이드증, 요로 결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 콩팥병이 발생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