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서론
– 연구의필요성
2. 본론
– 문헌고찰
– 산욕부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의 전체 분만 중 제왕절개 분만 비율이 2008년 36.3%에서 최근 10년간 42.3%로 약 1.17배 증가하였으며, 초산모의 경우 2명 중 1명은 제왕절개로 출산한 것으로(Hub, 2018)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증가 추세에 있는 제왕절개술에 대한 이론과 간호를 학습하여 임상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한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제왕절개분만의 정의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으로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 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더 이상 심각한 문제가 아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우리나라 제왕절개분만율은 2015년 39.6%, 2017년 45.0%(국가통계포털)로 WOHO 권고 수준보다 높다. 이렇게 높은 원인은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모체와 태아측 요인
–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부전 등으로 난산일 경우 실시
모체측 요인
– 모체질병: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진단, 당뇨병, 자궁경부암
– 중증감염: 단순포진 Ⅱ형, 활동성 병소
– 과거제왕절개 분만, 자궁수술의 경험
– 난소종양니아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 35세 이상의 초산부나 오랫동안 난임이었던 경우
태아측 요인
– 태아질식(제대탈출, 심한 태반기능부전)
– 횡위, 둔위 등 선진부 이상
– 다태아(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태반 요인
–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제왕절개술의
5대 적응증
– 아두골반불균형
– 과거 제왕절개분만 경험
– 아주심한 전자간증
–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
– 태아 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
2) 적응증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