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일반사항
2. PBL
3. 간호력
4. 신체검사
5.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진단, 간호과정
8. Self Study
9. 참고문헌
본문내용
57세 안OO은 남환으로 고혈압 과거력 있고 2022년 6월 6일 16:40경 오토바이 운전자로 주행 중 차선 변경하는 소형차와 부딪히며 C.C 생겨 OOOO병원에서 abrasion Dx, Lt. ankle wound irrigation 후 Lt. ankle은 deep laceration으로 입원 후 수술실에서 봉합 필요하다는 이야기 듣고 연고지 관계로 Crushing injury of ankle 진단 받으며 본원 응급실 통해 adm.
<중 략>
2022년 06월 07일 화 (HD2, 수술일) “사정일”
07:00 Lt. forearm, Rt. elbow site abrasion allevyn dressing 함. 09:00 (Lt) Ankle 3D CT 결과, Calcific bursitis, focal laceration과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거골 골연골병변 R/O남. (Lt) Ankle MRI 결과, focal laceration, 외상성 연조직 edema, calcification, achilles tendinopathy, OLT lesion R/O남. 16:00 Primary closure of laceration OP 후 V/S (100/60-60-20-36.3) 정상이고 통증 호소하여 측정하니, NRS 3점으로 측정되어 진통제인 Acupan inj. H/S 수액과 함께 mix하여 1L 1bag IV 지속 주입해주었고, 진통소염제인 Airtal Tab. 100mg 1Tab PO로 투약했음. 수술 후 Penrose drain #1, IV PCA, Lt. Short Leg Splint인 단하지 부목, Lt. CHIROPACK인 Ice pack, Rt. DVT 예방 기계인 펌프 슬리브 적용하고 나옴. 양쪽 발 SMC (-/-/+) 확인됨. OP 후 익일 운동 치료를 위해 crutch 제공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