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일반사항
2. PBL
3. 간호력
4. 신체검사
5. 진단검사
6. 약물
7. 간호진단, 간호과정
8. Self study
9. 참고문헌
본문내용
#Section 2. PBL
67세 김OO은 남환으로 방광 암 과거력으로 transurethral resection 수술력 있음. 2022년 04월 08일 창고 고치던 중 말이 어눌해지면서 하지에 힘이 빠지는 증상 있었음. 경과 관찰 중, 구음장애 심해지는 소견 보여 2022년 04월 15일 OO병원에서 우측 중뇌 경색증 및 후대뇌동맥 협착 소견으로 OO병원으로 전원 되어 항응고제 치료하면서 퇴원 후 경증의 구음장애 상태를 유지함. 2022년 07월 10일 기상 후 Lt side weakness 있어 OO병원 응급실에 내원하여 시행한 MRI 검사에서 Rt BG infarction & M1 stenosis 확인 되어 입원 치료 시행함. 2022년 08월 16일 OO병원 전원됨. 2022년 09월 29일 포괄적 재활 치료 위해 본원 adm.
2022년 9월 29일 (입원일)
13:32 W/C 타고 입원함. V/S (114/79-91-18-36.3) 정상임. Dysarthria, Dysphagia, Lt. facial weakness, Depressive mood, nocturia 있으며, K-MMSE~2 27/30점으로 정상임. MBI 35/100점, FAC 2점으로 도움이 필요한 수준임. Chest CT 결과, pleural effusion 소견 있어 11/16 아산병원 외진 갈 때 f/u 후 thoracentesis 고려해보기로 함.
2022년 10월 7일
보호자 잠시 배선실 간 사이 병실 내 벽에 위치한 공용 전화기 받다가 균형 잃고 벽 잡으며 스르륵 바닥에 주저앉듯 낙상함. V/S 132/83-72-18-36.2 SpO2 98%로 정상임.
2022년 10월 25일
발 끌리는 것이 여전하다고 호소하며, 3보 보행 시 한 번씩 foot drop 나타나 post stroke fatigue 의심 되어 fatigue severity scale 평가 진행했으나, 37점으로 괜찮아 12월에 다시 f/u 하기로 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