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상 위험성, 활동 지속성 장애 간호과정

목차

Ⅰ.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중재
5. 간호평가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 골다공증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노인에게 흔한 골대사장애로, 서서히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성의 경우 생애 중 50% 정도가 영향을 받는다.
골다공증의 주요 위험인자는 연령의 증가, 여성, 백인 혹은 아시아 인종, 가족력, 가는 체형이 있다. 또한 칼슘 섭취 감소, 부동의 지연, 과도한 알코올 섭취, 흡연, 코르티코이드, 항경련제 혹은 갑상선호르몬의 장기간 사용 등이 포함된다.
골다공증은 낮은 골질량이 특징이다. 골화는 골흡수와 조골과정으로 구성되는데, 파골된 골세포는 파골세포에 의해 제거되고, 골아세포에 의해 새로운 골세포가 형성된다. 조골과정은 4~5개월에 걸쳐 완성된다. 골다공증은 이 조골과정이 변화되어 골흡수가 조골을 능가함으로써 무기질과 단백질이 상실되어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t-score가 -2.5 이하인 상태이다. 골밀도가 -1~-2.5 사이에 있게 되면 골감소증이라 하고,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이라고 한다. 골밀도를 감소시키는 가장 큰 3가지 요인으로는 (1) 초기 성인기에 골질량을 최고치에 도달시키지 못할 때 (2) 골흡수가 증가할 때 (3) 골형성의 감소가 있다. 노인의 고관절골절과 척추골절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골다공증은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구분한다. 원발성 골다공증은 다시 1형과 2형으로 분류한다. 1형 원발성 골다공증은 폐경으로 에스트로겐 호르몬 분비가 감소되는 51세에서 75세 사이의 여성에게 발생한다. 1형의 골다공증에서는 척추, 골반, 팔목 뼈의 소주골 밀도가 감소된다. 이 유형은 에스트로겐 결핍과 관련되므로 여성의 발생률이 남성의 6배가 된다. 2형의 원발성 골다공증 75세 이상의 남녀 노인에게서 발생한다. 이 유형은 체중을 지지하는 치밀골이 서서히 소실하여 골절을 촉진한다. 노화에 의해 비타민 C 합성 기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칼슘 흡수율도 떨어지는데, 이것이 이 유형의 골다공증의 원인으로 추측하고 있다.
속발성 골다공증은 골다공증의 약 15%를 차지하며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위장장애, 신생물 및 알코올 중독 등의 질병에 의하여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