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 잦은 기침과 관련된 흉통
– 환경적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Ⅲ. 결론
1. 요약
2.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수돗물, 강물, 흙 등 환경에 광범위하게 서식하는 비결핵항산균으로 인한 폐질환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대개 폐결핵이 줄어드는 나라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늘어나는데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나라의 비결핵항산균 폐질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결핵 환자 수를 훨씬 넘어섰다. 비결핵항산균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사람 사이의 전파는 되지 않지만 1년 이상 치료하더라도 완치되어 재발하지 않는 경우가 드문 질병이다.
호흡기내과로 실습지가 배정이 된 후 호흡기 내과에는 주로 어떠한 질병 때문에 찾아오는지 궁금했다. 간호사 선생님과 케이스의 질병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다 추천해주신 환자분이 있었는데 그분의 진단명이 처음 보는 진단명이었다. 바로 ‘Pulmonary myobacterial infection’이었다. 처음 보는 진단명이라서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NTM Pulmonary Disease’ 라는 질병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비결핵성항산균 폐질환이라는 질환에 대해 정확히 알고, 어떠한 증상을 나타내며, 어떤 간호를 필요로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여 비결핵성항산균 폐질환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Case Study를 하게 되었다.
1) 문헌고찰
Nontuberculous Mycobacteria Pulmonary Disease
정의
항산균이란 막대기 모양의 세균 집단이다. 산(酸)을 견딘다는 의미로(acid-fast), 슬라이드에 도말 후 특별한 염색과정 처리 후에도 현미경 상에서 보이며 수를 셀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으로 부른다. 항산균(마이코박테리아, mycobacteria) 중 결핵균과 나병균을 제외한 나머지 항산균을 ‘비(非)결핵항산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이라고 하며, 이 균들에 감염되어 폐에 만성 염증이 생기는 병을 ‘비결핵항산균 폐질환’, 혹은 ‘NTM 폐질환’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