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본문내용
홍역은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다. 법정전염병의 신고 누락 및 지연 시 건당 최소 200만 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러한 가운데 2002년에는 신고가 늦어져 진료의사가 전염병 예방법위반으로 형사 입건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현대의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전염병은 사라지지 않고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과거에 사라졌던 전염병이 재출현한다든지 신종전염병의 출현으로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
다. 이 중 법정전염병은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전염병관리의 일환으로, 전염병 발생 시 신속한 신고와 함께 철저한 예방법을 준수하여 타인에게 전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Yoo, 2003) 전염병을 예방하고 발생 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환자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의료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태풍, 집중호우와 같은 일반적 자연재해 뿐 아니라 지진과 미세먼지, 조류독감, 살충제 계란 파동 등 재난의 양상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시민의 일상생활 깊숙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정부는 종합적 재난관리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예측할 수 없는 형태의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의 재난을 관리하여 사전에 재난을 예방. 대비하여, 재난 발생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본래의 상태로 복구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