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서평 오피스 문해력을 읽고 나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친구들과 사용하는 언어와 직장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분명 다르다. 예를 들어 친구나 지인들 사이에 오가는 대화는 특별한 정보나 전문적 식견을 갖고 있지 않아도 알 수 있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더불어 친밀감으로 이어진 개인들의 관계의 대화는 가급적 선의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일반적으로 직장에서의 대화보다 친구나 지인들과의 대화에서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인간은 친구나 지인만 만나서 대화할 수는 없다. 사실은 그 반대이다. 잠자는 시간을 제외한 우리 삶의 시간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기 때문에 직장 내 소통, 업무적 관계의 소통이 친구나 지인과의 소통보다 더욱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업무적 소통은 대부분 수평이 아니라 수직의 관계에서 이루어 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보고하는 사람은 부하 직원이고 보고 받는 사람은 상관이다. 상관에게 내용을 이해시키고 설득을 이끌어 내야 한다.

이러한 위계질서 속에서 평정심보다는 압박감을 느끼는 것이 대다수이다. 압박감은 원활한 소통을 방해하는 장애물이다. 열심히 보고서를 준비해도 상관 쉽게 주눅이 들기 마련이다.

특히 상관은 대체로 여러 이슈를 다루고 판단하기 때문에 부하 직원의 보고 하나하나에 전력을 다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대신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해야 자신이 담당하는 여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인간은 기본적으로 인지적 구두쇠이다. 다시 말해 심리학에서 사람은 지능과 상관없이 문제를 해결할 때 복잡하고 노력이 요구되는 방법보다 간단하고 노력이 덜 드는 방법으로 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구두쇠가 돈 쓰기에 아주 인색하듯이 인간은 인지적 노력을 하는 것에 본능적으로 인색하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