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입원아동 관련 Terminology
2. 입원아동의 간호
3. 예방접종
4. 이유식
5. 검사 전 후 간호
6. 입원아동의 정서적 지지
본문내용
2. 입원아동의 간호
1. 입원아동과 간호사
– 아동의 성장발달을 고려한 상호작용
– 신뢰감 구축
2. 아동의 입원과 질병에 대한 의미 ; 아동의 질병에 대한 개념 발달
3. 입원에 대한 아동의 반응(response) 및 간호
1) 두려움과 불안의 완화
① 두려움과 공포의 요인
-입원아동의 불안요인 사정과 간호
-입원아동의 공포요인 사정과 간호
② intervention :
-효율적인 입원준비 간호
-침습적 절차에 대한 준비
-낯선 환경 적응에 도움중재
-친숙한 물건 가져오도록
-통증중재
2) 적절한 자극의 제공
① sensory deprivation : 자극의 결핍 상태
-자극과잉요소 : 빛, 소리, 색깔
.-지나친 유해 감각적 자극요소 통제하기
3) 통제적 상실의 예방
① 발달단계별 통제력 저하 요인
② 신체적 제한- 공간적 제한
– 신체부위 제한
③ 일상생활의 변화(altered routine) :
유아, 학령전기 아동
-의식주의 제한 : 의식주의 허용하기
-병동에서의 시간표 짜기8입원 아동 간호
④ 강요된 의존성- 아동의 독립성 존중하기; old child 의 경우 -> 병원에서의 의존적 역할 -> 상실감의 경험개별성의 존중과 의사결정의 기회 갖도록
– 선택의 기회제공
– 자가간호 증진
⑤ 정보부족
– 절차 등에 대한 정보제공
4) 정상 성장발달 증진
① hospital school (병원학교): school teacher, visiting teacher다학제적 접근 need.
② self-mastery 능력 증진의 기회 제공
5) 발달단계별 입원간호 제공
Positioning
1. 경정맥천자(jugular vein puncture)
1) 미이라 restraint
2) 머리와 억제의 extension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