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이유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A. 정의+분만의 단계
B. 종류
C. 시술(투여)방법
Ⅲ. 간호사례
A. 간호력
B. 신체검진
C. 진단검사 및 자료
D. 투약
E. 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 분만 경과 기록
F.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A.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B. 여성건강간호학 실습3 소감
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이유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 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산모의 만출력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 모두 해가 없는 것을..
<중 략>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대상자는 ANC(antenatal care, 산전관리) 받던 중 유도 분만하고자 09/06 21시 38분에 남편과 함께 DR 오신 경산부로, 첫째 아이 출산 당시 난산이어서 주치의 협의 후 옥시토신과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이용하여 유도 분만하기로 한 경산부이시다. 산과력(GTPAL)은 임신횟수(Gravidity): 2, 만삭분만횟수(full Term birth): 1, 조산(Premeture birth): 0, 유산횟수(Abortion): 0, 생존한 자녀(Living baby): 1이다. 태아의 재태연령은 38주+ 4일이며, 태위는 두정위이다. 대상자는 분만 1기에 NRS 8점의 통증이 있었고, 분만 2기에 회음절개술(episiotomy)을 RML(우측중측방절개술)로 받으신 후 태아 만출이 있었으며, 분만 3기 태반 만출 후 실혈량이 총 400mL 정도 있으셨다. 09/07 07시 35분 NSVD로 분만실에서 2960g 여아를 분만하였다.
<중 략>
• 산과력(GTPAL):
임신횟수(Gravidity): 2, 만삭분만횟수(full Term birth): 1, 조산(Premeture birth): 0,
유산횟수(Abortion): 0, 자연유산횟수(SA): 0, 인공유산횟수(AA): 0, 생존한 자녀(Living baby): 1
<중 략>
▶ Bishop score는 임신 38주 이상 유도분만 산모가 Dinoprostone(프로스타글란딘 E2) 10mg(Propess Vag. SR 10mg)을 사용하고자 할 때 적용된다. 점수가 높을수록 유도분만의 성공률이 높다. 총점은 13점이며 9점 이상이면 유도분만이 성공하게 되고, 4점 이하면 실패하기 쉽다. 대상자는 첫 아이 출산 시 난산으로 주치의 상의 후 유도분만을 시도하기로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