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사항
2. 동거가족
3. 과거 건강력
4. 과거 산과력
5. 현재 산과력
6. 분만관찰 기록지
7. 간호과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진단
실제적 (HOD#1, POD#0) pm. 12:00
분만 통증: abdomen
간호목표
1. 장기 목표
Ÿ 대상자는 퇴원 시에 NRS 점수를 1점 이하로 유지한다.
Ÿ 대상자는 퇴원 시에 V/S을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2. 단기 목표
Ÿ 대상자는 분만 과정에서 NRS 점수가 7점 이하를 넘어가지 않는다.
간호계획
① 30분마다 대상자의 V/S를 측정한다. : V/S은 대상자의 상태를 반영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다. 통증으로 인해 V/S이 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② 30분마다 PQRST로 대상자의 통증의 부위, 양상, 강도, 빈도 등에 대해 포괄적으로 사정한다.
: PQRST는 환자의 통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 및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각 구성 요소는 통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문제를 다각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환자에게 최상의 돌봄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③ 대상자에게 epidural anesthesia를 시행하고 1시간마다 효과 및 부작용을 사정한다. : 진통제로 통증을 경감할 수 있지만, 대상자의 체질에 따라서 효과의 정도가 다르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④ 대상자에게 비약물적 통증 조절 방법(이완요법: 심호흡)에 대해 교육한다.
: 심호흡은 신체적 · 정신적 평온 상태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줄여서 통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⑤ 쿠션과 베개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 통증은 근육의 긴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완 요법 및 편안한 자세는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근육의 혈액 순환을 증가시킨다. 이는 통증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⑥ 대상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편안한 환경은 신체적 · 정신적 평온 상태를 유도하고,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분비를 줄여서 통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