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Ι.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질병의 병태생리기전
4. 증 상
5. 진단방법
6. 치료
7. 합병증
8. 간호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Crohn’s disease (크론병)
소화관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
Ⅰ. 서론
생활환경이 변하면 질병도 변한다.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 환경오염과 함께 위생상태가 개선되면서 질병이 다른 양상으로 등장하고 있다. 소화기질환의 경우 감염성 질환이 감소하고, 자가면역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여 년 사이 급증하고 있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특히 다양하고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악화와 재발을 반복하여 완치가 되지 않는 이런 만성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은, 주로 젊은이들에서 발병하여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어 최선의 치료를 적용할 수 있게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달리 염증이 장의 모든 층을 침범하며, 병적인 변화가 분포하는 양상이 연속적이지 않고 드문드문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인 회맹부에 질환이 발행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흔히 발생한다. 병적인 변화가 회장과 맹장에 같이 나타나는 경우가 40~60%로 가장 흔하고, 소장에만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30%, 대장에만 발병하는 경우가 10~25%를 차지한다.
2. 원인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➀환경적 요인, ➁유전적 요인과 함께 소화관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➂우리 몸의 과도한 면역반응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크론병과 ➃흡연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크론병에서 흡연이 질병의 발생을 촉진하며, 흡연자의 경우 수술을 받은 후에도 재발률이 높고 증상이 더욱 악화된다.
3.질병의 병태생리기전
현재까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크론병의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져 있지는 않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