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활동요법_미술요법

목차

1. 집단상담의 유형과 목적
2. 집단과정 계획
3. 총회기 계획서 (총 8회기)
4. 회원별 개인평가
5. 개인별 총평가 및 사전사후 척도
6. 프로그램 총 평가 및 슈퍼바이저 코멘트

<첨부> 그림도안

본문내용

1. 집단상담의 유형과 목적
1) 집단상담의 유형 : 집단프로그램 미술요법 – 마음을 다스리는 채색 활동
구조화된 폐쇄집단상담의 형태로 미술활동을 통해서 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2) 목적
미술요법은 조형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갈등을 조성하고 동시에 자기표현과 승화작용을 통해서 개인의 변화와 자아성장을 추구하는 것이다. 대상자가 미술작품을 완성하는 과정 에서 대상자의 감정에 대해 진행자가 개입하여 언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 다.
– 미술활동을 통해 입원으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시킨다.
– 흥분되는 감정을 다스리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해 미술활동으로 에너지를 표출한다.

2. 집단 과정 계획
1) 참여자의 특성
: 입원 3개월 미만의 조울증, 조현병 환자로 정신과적 증상으로 인해 동반산책만 허용 되어 병동 내에서만 생활하며 활동량이 적은 대상자.

<중 략>

병동에 입원중인 환자들이 미술요법을 하기를 원하였다. 실제로 미술요법을 시행하고 보니 활동을 하는 중간 중간에 자신의 느낌이나 기분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었고 다른 환자와 서로 친해지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정신과적 증상으로 인해 자율산책은 불가능하고 동반산책만 가능한 대상자라 프로그램에 집중하지 못하면 어쩌나 걱정했었으나 오히려 병동 생활을 즐겁게 할 수 있었다며 만족해하며 집중하였다. 병동 치료진들도 한 가지 활동에 집중하다 보니 간호사실로 찾아와서 퇴원이나 사소한 nagging을 하는 횟수가 줄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오전시간을 혼자서 보내다 보면 답답함이 늘어나고 퇴원을 하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이 높아진다고 하였다. 채색 활동을 통해서 에너지를 발산하고 감정도 표현하며 섬세한 활동에 집중도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술은 자신이 없다 하던 환자들도 도안을 채색하다 보니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온 후 자신감을 얻고 새로운 것에 도전하려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