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작업치료, 활동요법_종이공예

목차

1. 집단상담의 유형과 목적
2. 집단과정 계획
3. 회기 프로그램 계획(8회기)
4. 활동요법 계획표
5. 회원별 개인평가
6. 개인별 총평가 및 사전사후 척도
7. 총평가 및 슈퍼바이져 코멘트

본문내용

1. 집단상담의 유형과 목적
1) 활동요법의 유형 : 집단프로그램 미술요법 – 종이공예
구조화된 폐쇄집단상담의 형태로 종이공작활동을 통해서 성취감, 만족감, 자존감 등 긍 정적인 감정을 발생시킨다.

2) 목적
– 손으로 직접 여러 가지 종이재료를 만지는 과정에서 손의 감각자극을 증진시키고 현실감을 제공한다.
– 종이공작활동을 통해 눈-손의 협응력, 팔과 손의 대,소근육의 협응력, 양손 협응력 등 신체 활동 기술을 증진시킨다.
– 스스로 작품을 완성해 냄으로써 자기표현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기유능감을 높인다.

2. 집단 과정 계획
1) 참여자의 특성
: 입원 3개월 이상의 조현병 및 경도의 정신지체 환자로 정신과적 증상 및 인지저하로 인해 동반 산책만 허용되어 병동 내에서만 생활하며 활동량이 적은 대상자.

<중 략>

인지능력이나 미세활동능력이 떨어지는 대상자들에게 만들기 활동을 진행하면서 진행이 매끄럽게 될지 걱정 이였지만 생각보다 과정을 잘 이해하고 따라와 주었으며, 활동 하면서 가위질이나 색칠하는 활동에 적응하고 잘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보조진행자의 도움이 많이 필요했으며, 대상자들 개개인에게 관심을 두고 활동과정을 도와야 했기 때문에 대상인원이 더 적었더라면 더 많은 관심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중도에 포기하거나 탈락하는 변수가 생길 것이라 예상했지만,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면서도 진행하는 동안 더 도전하고 스스로 해보려는 대상자들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병원 입원기간동안에 미세 활동을 할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미세활동능력이 더 저하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충동성향이 강한 대상자들이 있어서 가위사용시에 안전에 대해 더 유의하였으나 가위를 종이 자르는 활동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아서 생각보다 안전하게 활동을 마칠 수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