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개요
1.2 목적 및 의의
2. 본론
2.1 이론
2.1.1 공기의 밀도
2.1.2 송풍량
2.1.3 Alpha ratio
2.1.4 Expansion factor
2.1.5 Fan total pressure
2.1.6 Fan outlet total pressure
2.1.7 Fan velocity pressure
2.1.8 Fan static pressure
2.1.9 Fan power input
2.1.10 Fan power output
2.1.11 Fan total efficiency
2.1.12 Fan static efficiency
2.2 실험장치
2.3 실험방법 및 측정순서
3. 결론
3.1 실험결과
3.2 고찰 및 결론
4. 부록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개요
송풍기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장치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특히 설비공학에서는 공기조화설비와 냉난방 설비에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송풍기의 성능곡선과 작동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송풍기의 성능곡선은 유량을 변 화시킬 때, 송풍기의 전압, 전류, 회전수, 정압, 노즐차압 그리고 온도를 측정하여 각 구한 변수들을 이용하여 그린 그래프이다. 송풍기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는 날개차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축류형 팬, 반경류형 팬 그리고 혼합류형 팬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이 날개차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하면 축류형 팬이며, 축류형 팬은 날개차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 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한다. 혼합류형 송풍기는 날개차 내에서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유동이 같이 존재하고 유량과 압력의 증가가 동시에 필요할 때 사용된다.
1.2 목적 및 의의
송풍기는 건축설비에서 주로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이번 실험을 통해 유량 변화에 따른 전압, 전류, 회전수 그리고 정압을 측정하여 공기량과 압력 그리고 팬의 효율을 계산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효율을 이용해 성능곡선을 표현하고자 하며 그래프가 어떤 개형을 갖는지, 의미는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2. 본론
2.1 이론
2.1.1 공기의 밀도
표준공기의 밀도를 이용한 아래의 식으로 밀도를 결정한다. 또한 대기의 밀도는 챔버 내의 공기 밀도와 같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공기의 밀도는 아래와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