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피스 유량측정 실험 (위생설비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개요
1.2 목적 및 의의

2. 본론
2.1 이론
2.1.1 유량
2.1.2 위어메터
2.1.3 오리피스
2.1.4 레이놀즈 수(Reynolds number)
2.1.5 베르누이 방정식
2.1.6 연속방정식
2.2 실험장치
2.3 실험방법 및 측정순서

3. 결론
3.1 실험결과
3.2 고찰 및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개요

설비공학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물과 공기라고 생각한다. 물과 공기는 인 간이 살아가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인데, 물과 공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배 분하기 위해서는 유량 측정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산업 현장이나 플랜트에서는 효율의 향상과 운전 관리를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유체역학의 주된 응용분야는 유체의 유량을 결정하는 것이고 유동 계량의 목적으로 수많은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유량계는 크기, 비용, 정확도성, 압력강 하 그리고 작동원리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1.2 목적 및 의의

장애물식 유량계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오리피스 유량계, 노즐 유량계, 벤투리 유량계이다. 오리피스 유량계는 [그림1-1]과 같다. 그 중에서 오리피스 유 량계를 이용하여 계측하고 베르누이방정식으로부터 도출되는 실제 유량식을 이 용하여 측정 유량과 비교하여 보고 오차전파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림1-1] 오리피스 유량계 개략도

2. 본론

2.1 이론

2.1.1 유량

단위시간 동안 유체가 유관을 흐르면서 그 단면적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의 체적과 질량을 시간에 대한 비율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2.1.2 위어메터

개수로에 장애물을 세워서 유체를 이 장애물로 차단하였다가 위로 넘쳐흐르게 함으로써 유량을 측정하도록 만든 장치이다. 위어메터의 형태는 [그림2-1]에 나타 나 있다.

[그림2-1] 위어메터 개략도 유량은 다음 식으로 결정된다. Q=K · L · H (m /s)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