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본론
1.1 이론
1.1.1 원심펌프
1.1.2 벤츄리미터
1.1.3 유량계수
1.1.4 수동력(Water Hosepower: WP)
1.1.5 축동력(Water Hosepower: WP)
1.1.6 펌프의 효율
1.1.7 흡입양정
1.1.8 토출양정
1.1.9 실양정
1.1.10 전양정
1.2 실험장치
1.3 실험방법 및 측정순서
2.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본론
2.1 이론
2.1.1 원심펌프
원심펌프는 유체(액체나 기체)를 날개가 달린 회전압축기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용기 중심부에 들어간 물이 회전하는 임펠러를 지나 압력이 높아져서 바깥둘레 로 유출되고 스파이럴형의 통로를 지나 펌프 출구에 도달한다. 배출되는 액체는 유체의 회전으로 인해 유입되었을 때보다 속도와 압력이 증가한다. 원심력을 이 용해서 연속적으로 물체를 흡입, 배출하므로 원심펌프라 한다. 원심펌프는 현대 발전과 급수, 일반 산업에 사용되고 있고, 배수용, 상하수도용, 광산용, 화학 공업 용 등 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펌프 중 가장 많이 사용되며 상대적으로 저렴 하고 많은 양의 유체를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석유 산업과 화학 산업에서도 널 리 사용되고 있다. 원심펌프를 작동시키면 날개차가 회전하여 흡입관에서 토출관으로 액체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원심펌프는 크게 케이싱과 회전체(축이음쇠, 주축, 날개차, 축베어 링)으로 구성되어있다. 케이싱은 날개차에서 보내진 물을 받아 토출구로 유도하 는 역할을 한다. 축이음쇠는 원동기축과 펌프축을 간접적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주축은 동력을 날개차에 전달하며 탄송강이나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 된다. 축 베어링은 최전체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축의 추력을 받아내며 소음과 진 동을 방지한다. 날개차는 회전에 의해 양수기능을 발휘한다.
2.1.2 벤츄리미터
벤츄리미터는 관수로 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 관수로 도중에 단면 이 좁은 관을 설치하고 유속을 증가시켜 수축부에서 압력이 저하할 때 이 압력 차에 의하여 유량을측정하는 기구 중에 속한다. 유속이 빠른 곳에서 압력이 낮아 지는 현상을 관측하며 벤츄리메터를 이용한 관내 유량측정법을 계산할 수 있는 실험 장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