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장 선택의 짐
2. 2장 우리 시대의 허무주의
3. 3장 신들로 가득한 세상
4. 4장 유일신의 등장
5. 5장 자율성의 매력과 위험
6. 6장 광신주의와 다신주의
7. 7장 우리시대의 가치있는 삶
본문내용
이 책은 각 시대를 대표하는 여러 입장이나 인물들이 인간의 실존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해온 지, 그리고 그들의 인간존재와 성스러움에 관한 설명들이 어떻게 인간의 허무주의를 저지해온 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런 것들을 가지고 어떻게 이 시대의 허무주의와 싸울 것인지에 대해 다룬다. 각 장별로 내가 이해한 내용에 대해 언급하고 그에 따른 나의 의견을 적어보려 한다.
1장 선택의 짐
1장에서는 웨슬리 오트리의 선행 시작으로 현재 우리는 선택의 폭이 커졌음에도 선택에 대한 동기와 확실성이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 우리가 자기 확신에 차 대안을 인정하지 않는 방식, 강박과 중독 등의 노예로 아무 것도 선택하지 않는 방식, 주변에 대한 의식을 안하고 습관적으로 행동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선택을 회피함을 지적한다. 반면, 영웅적 행동을 하는 사람은 이와 반대로 참된 확신, 가치 있는 행동의 이끌림으로 인한 즐거움, 고양된 각성등을 갖고 영웅의 행동은 상황의 요구에 따라 일관적으로 망설임이 없이 나온다. 또, 과거 계급사회의 고정된 단테의 세계와 달리, 현재 우리는 신의 몰락으로 선택의 짐을 갖고 살아가는 우리들은 실존적으로 불확실하다. 고정된 세계와 현재의 세계 사이의 혼란된 시점에 우리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이나 데카르트의 주장을 통해 실존적 질문을 던진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또 실존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우리는 허무주의에 빠질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 장을 읽으며 나 자신의 삶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자유주의의 세상에 살아가고 있는 나는 분명 행복한 사람일텐데, 항상 마음 한켠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허망함을 느껴왔다. 이러한 허망함이 어디에서 온 건지에 대해 전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다. 하지만, 1장을 통해 나의 마음 속 답답함이 내 존재에 대한 확실성이 없어서인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정말 과거와 달리 우리는 허무주의에 빠질 위험을 가지게 된건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