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자궁 내 성장지연(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1. 정의
2. 원인
3. 분류
4. 진단
5. 문제 (임상증상)
6. 치료
II. 자료수집 도구
1. 일반적 간호정보(입원시 수집자료)
2. 임신 관련 정보
3. 검사실자료
4. USG
5. Nitrasine/amnisure
6. NST
7. Chest X-ray
8. 투약 기록
9. 통증 및 간호
10. 신체검진
III. 비정상 자료 목록 (※ 관련된 모든 비정상 자료를 기술합니다.)
IV.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V. 간호과정(Nursing Process) 적용
본문내용
3. 분류
– 대칭형 자궁내 성장 지연(symmetric IUGR)
: ponderal index와 관계없이 재태주령에 따른 체중과 신장이 모두 10%미만인 경우, 주로 태아 측에 원인이 있다(선천성 이상, 태내 감염증)
– 비대칭형 자궁내 성장지연(Asymmetric IUGR)
: ponderal indexrk 10%미만인 경우, 체중만 적게 나감, 환경적 원인(태반 기능 저하, 임신고혈압)
4. 진단
1) Ultra sound scans
2) fetal heart rate monitoring
3) 자궁저부높이: 34주 이상의 성장지연임부 자궁저부 높이 기준으로 확인.
4) 체중증가: 성장지연군의 체중증가는 평균 11.3kg으로서 정상군(14.1kg)에 비하여 적은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체중증가가 7kg이하인 빈도는 정상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16.4%:2.9%)
5) 초음파검사: 성장지연환자에 대하여 초음파 두-복부(head/abdominal area) 측정을 한 결과, 35주 또는 그 이전에 있어서 성장지연으로 확인, 진단된 빈도는 71.4%로서 유용하였으나, 36주 이후 진단에 있어서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임상에서 자궁내 성장지연은 50%가량이 출생 전에 진단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초음파적 변수인 대횡경선(BPD), 두위(HC), 복위(AC), 대퇴길이 등이 자궁 내 성장지연 평가에 이용된다. 또한 신체비례지수(HC 대 AC비율)가 비대칭적 자궁내 성장지연 결정에 이용된다. 자궁 내 성장지연을 확정하기 위해 2주 간격으로 초음파를 하여 태아를 평가한다.
5. 문제 (임상증상)
(1) 저산소증: 주산기 곤란증. 태아 가사, 태변흡인, 지속성 폐동맥고혈압증, 폐출혈
(2) 저체온증
(4) 대사질환: 저혈당증, 저칼슘혈증, 저나트륨혈증
(5) 선천성 기형
6. 치료
(1) IUGR의 원인을 찾는다.
– 신생아 진찰: 선천성 기형, 감염등
– 재태주령 산정 및 산모력, 임신력, 약물복용 등의 자세한 병력 청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