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총담관결석, 담관염 CASE STUDY (A 받음)

목차

Ⅰ. 성인건강사정 도구
1) 일반 사항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질병 문헌고찰
6) 간호력

Ⅱ. 치료 내용 (처치, 임상 검사, 약물)
1) 진단검사
2) 임상검사
3) 검사결과 종합적 해석
4) 약물
5) 처치

Ⅲ. 간호문제
1) 복합적 요인(치매, 기능상태 인지 부족, 하지 위약감)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
2) PTGBD 삽입 부위 및 지식 부족으로 인한 감염 위험성
3) 섭취량 부족으로 인한 영양불균형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1. 담관염
정의
담관의 염증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병태생리는 담석증과 유사하다.
담석에 의한 담관의 폐색이 일반적인 원인이며, 좌식 생활 습관과 비만 등이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

증상
오한과 열, RUQ의 심한 복통, 황달과 혈청빌리루빈의 경미한 증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흔하지 않으나 쇼크와 혼돈, 혼수와 그 외 중추신경계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감염된 담즙이나 농이 담관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로 급성독성 담관염의 발병을 의미한다.

2. 총담관 결석
정의
담즙을 십이지장 내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곳에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담낭 안에 있는 결석이 담도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담도 내에서 자체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총담관결석은 담도폐쇄부터 담낭염, 췌장염, 장기간 담석이 담도 내에 존재하는 경우 이차성 담도경화증(secondary iliary cirrhosis)까지 일으킬 수 있다. 서양에서는 담낭에서 유래된 속발성 총담관결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원발성의 비율이 높다.

원인
일반적으로 총담관 결석증의 병리는 담석증과 유사하다.
담석이 생성되는 기본적인 원리는 담즙의 주요 구성 성분인 담즙산과 인지질이 섞여있는 미포(micelle; 마이셀)성 용액 내에 콜레스테롤 등의 지방질이나 무기염(inorganic acids), 유기염(organic acid) 등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어 과포화 상태가 되면서 침전되는 것이다. 결석으로 침전되는 담즙의 다른 구성요인은 담즙산염, 빌리루빈, 칼슘 및 단백질이다. 결석은 총담관으로 이동하여 관을 통과하면서 통증을 유발하고, 관에 머물러서 폐쇄를 일으킨다.
나이가 들수록 빈도가 증가되며, 거의 대부분 담낭에서 형성된 콜레스테롤 또는 혼합형 담석이 총담관으로 흘러들어온 것이며, 담관에서 1차적으로 형성된 경우 대개 색소성 결석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