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요법 관련 동향 보고서,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종류, 이유, 장점, 문제점

목차

없음

본문내용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 대한의학회 보완대체의학실무위원회 :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정되는 정통의학, 주류의학, 제도권 의학, 정규의학에 속하지 않은 모든 보건의료체제 및 이와 동반된 이론이나 신념, 그리고 진료나 치료에 이용되는 행위와 제품 등의 치유자원 전체를 통칭한다.’
● WHO : ‘해당 국가의 전통의 일부가 아니고 주류 의료체계에 통합되지 않은 다양한 부류의 건강관리 행위’
● 미국의 국립보완대체요법센터(NCCAM) : ‘현재 주류의학의 일부가 아니라고 여기는 다양한 의료 및 건강관리 체계, 시술 및 제품’

세 곳의 공통점은 ‘제도권 의학, 주류 의학이 아닌 것’이다.

보완대체요법의 종류 (미국 국립보건연구소 NIH)
● 대체 의료 체계 : 현대의학과는 완전히 다른 이론과 시술 체계를 갖춘 것을 말한다. 동종요법, 자연요법, 중의학, 아유르베다, 인디언 의학, 티벳 의학 등이 포함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