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수화물
– 탄수화물 종류 분류
– 기능 기술
– 칼로리 계산
– 혈당 부하 사용의 유용성 토론
– 당 섭취 제한방법
<탄수화물 분류>
– 주로 열량 제공하는 영양소
– 탄소, 수소, 산소
– 탄소의 수화물, 당질
– 동물: 글리코겐의 형태(사용 용이)
– 뇌가 쓰는 유일한 에너지원은 포도당임
*탄수화물
단순당- 단당류(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바로 흡수됨
이당류(자당 Sucrose, 맥아당 Maltose, 유당 Lactose) 단당류로 분해되어 흡수됨
복합당- 다당류(전분, 글리코겐, 섬유소)
<중 략>
*혈당반응과 당부하
– 식품의 혈당지수 Glycemic index GI: 음식을 섭취한 뒤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 0~100
찹쌀밥, 떡, 흰밥: 혈당지수 높음/ 혈당 빨리 올라가면 인슐린 과잉분비되고 체지방 축적되어 비만으로 이어짐
– 당부하: 1회 분량을 기준으로 혈당반응을 유도?
탄수화물함량이 혈당반응에 영향을 주는 정도/ 혈당에 미치는 식품의 영향을 정확하게 정의함.
<탄수화물 기능>
– 에너지를 위한 포도당
근육은 지방과 포도당 모두 사용, 뇌는 포도당에만 전적으로 의존
– 단백질 절약작용
– 케톤증 예방
케톤을 소변으로 배설시 탈수, 나트륨 고갈
– 초과된 포도당 글리코겐 전환
– 탄수화물 함유 화합물 구성
<영양 섭취 기준>
– 총 탄수화물: 1일 평균섭취량 314.5g으로 높음
탄수화물 적정비율 55~65%(70% 이상시 질병 위험증가)
– 총 당류: 총 에너지 섭취량의 10-20%로 제한/ 식품 첨가당은 10% 이내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