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심근경색증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1) 심장(heart)의 해부학적 구조
2)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정의
3)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종류
4)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원인
5)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증상
6)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진단
7)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치료
8)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의 간호
2. 간호력
3. 신체검진
4. 검사소견
5. 투약
6. 간호문제도출
7. 간호진단도출
8. 간호과정적용

Ⅳ. 참고문헌

Ⅴ. 부록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근경색을 포함한 심장질환은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2위로 매운 높은 원인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심장질환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하며 대상자에게 적합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이번 실습 중 심근경색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본 간호사례연구를 통해 심근경색의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대상자에게 가장 적합한 간호과정을 적용할 것이다.

Ⅱ. 본론

1. Action sheet

생각
(ideas)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
(facts)
더 알아야 할 것
(learning issues)
활동계획
(action plans)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차단되어 심근조직의 비가역적 손상을 일으키며 경색과 괴사가 일어나며 EKG의 변화를 발생 시킨다.

Hyperlipdemia, HTN, 흡연, 음주, 부족한 운동등은 혈관내피를 손상시키고 죽상경화증을 발생시키므로 심근경색의 위험요인이다.

EKG상 Q파와 T파가 상승한 소견이 있다.

dyspnea, headache, chest discomfort을 호소하고 있다.

Wong-Baker Scale 강도2의 통증이 있다.

Hyperlipdemia, HTN의 과거력이 있다.

흡연, 음주를 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다.

불안, 우울, 분노, 무기력한 상태이다.

ABR.

심근의 괴사를 통해 괴사효소가 증가했을 것이므로 심청심장표식자 검사 결과를 확인한다.
(Troponoin I, Troponin T, CK-MB, myoglobin)

대상자에게 투여되고 있는 약물을 확인한다.

지속적인 통증관리와 혈액지표검사를 통한 환자의 상태와 심근의 괴사 진행 정도를 확인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