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A+받은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아동실습, 간호사정, 문헌고찰, 통계, 검사, 약물, 느낀점 포함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급성기관지염 통계 자료

Ⅱ. 본론
1. 대상자 소개
2.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3. 간호과정

Ⅲ.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아동 간호학실습의 케이스인만큼 아동에게 많이 발생하며 아동의 삶의 질과 관련이 깊은 질병을 하고 싶었다. 또한 급성기관지염의 증상이 호흡과 관련된 것으로 아동들의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아동들의 불안과 보호자의 걱정을 불러일으키는 질병이라고 생각하여 이 사례 연구 보고서를 통하여 급성기관지염과 관련된 간호진단을 내리고 간호과정을 적용시켜보고 싶어 선택하게 되었다.

2. 급성기관지염 통계 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16년 학령기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급성 기관지염으로 진료를 받은 외래 환자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빈도 질병 통계에 따르면 급성 기관지염은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가장 많은 외래 진료 환자 수(1619만 명)를 기록했다.
연령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0~9세가 21.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뒤이어 30대(13.6%), 40대(13.1%), 10대(12.8%) 순으로 진료 인원이 높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2019년간 ’10대 청소년의 다빈도 질병’을 분석한 질병통계 보도자료를 공개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청소년 환자가 가장 많은 질병은 급성기관지염(200만 606명)이었다. 다빈도 질병과 비슷한 양상으로 10대 청소년 환자가 가장 많이 외래로 방문한 질병은 급성기관지염(199만 8856명)이었다.

Ⅱ. 본론
● 사례연구 조사 기간 : 2023 년 월 일부터 일 간
1) 대상자 소개
환자명
서**
성별/ 나이(출생년월일)
M/1(2022.11.01.)
의학적 진단명
주진단: Acute broncholitis
부진단: Bronchopneumonia
unspecified Acute otitis media, bilateral
입원일
2023.10.29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