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심장혈관내과, 심방세동대상자,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입니다.A+을받은과제입니다. 이론부터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5개 이상씩 존재합니다. 참고문헌, 느낀점도 기재되어있어 그대로 사용하시기에 편하실것입니다.

목차

1. 서론
1) 문헌고찰
(1)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병태생리
(2)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원인 및 위험요인
(3)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증상
(4)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진단검사
(5)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치료
(6)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간호
(7) 심방세동,조동,심부전의 퇴원교육과 예방법

2. 본론
1) 대상자 사례연구
(1) 대상자 간호 정보
(2) 대상자 진단검사 결과
(3)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정보
(4) 간호과정

3. 결론

본문내용

①심방세동 (AF,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은 가장흔한 부정맥이다.
-심방이 350~600회/분이상 수축을 일으켜서, 효과적으로 심방이 수축하지 못하 고 (p파 부재) 미세한 파동(F파)를 나타낸다.
-방실결절에서는 지나치게 빠른 심방수축에 모두 반응하지 못하고, 불규칙적으로 심실에 자극을 전달한다.
-그 결과 심실수축횟수는 대개 100~150회/분으로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심방세동은 심전도상에서 매우 불규칙한 QRS파로 진단내릴수 있다.
-심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심장질환시 볼 수 있다.
*심전도 상의 특징
-심방수축: 350~600회/분
-심실수축수: 100~150회/분
-p파: P파는 보이지 않고 완만한 선으로 보이거나 미세한 진동(F파)로 나타난다.
-QRS파: 파형은 정상이나 매우 불규칙적이다.
-전도: 지나치게 빠른 심방수축마다 방실결절에서 모두 반응 할 수 없으므로 심 방수축은 불규칙적으로 심실에 전달된다. 그 결과, 심실은 불규칙하게 수축한다.
-리듬: 매우 불규칙적이다.

②심방조동(AFL, Arterial flutter)
-심방조동은 심방의 어느 한세포가 흥분하여 심장 수축 자극을 반복적으로 빠르게 내보냄으로써 심방수축속도가 250~350회/분에 달하는 것을 말한다.
-심방의 수축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심방의 수축자극이 차단되고 그중 심실상 부의 자극을 방실결절에서 His 속에 2:1, 3:1, 4:1 비율로 전달하므로 QRS파의 수는 p파에 비해 적어진다.
*심전도 상에서의 특징
-심방수축수: 250~350회/분
-심실수축수: 60~150회/분(심방의 자극이 방실결절에서 차단되는 정도에 따라 다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