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검사와 간호] 급성심근경색(AMI) 임상사례 분석 보고서/급성심근경색 케이스/심근경색 케이스/CK-MB/심근효소/심장효소

목차

1. 위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의심할 수 있는 병명과 그 이유를 기술하시오.
2. 위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를 주의깊게 사정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자세하게 기술하시오.
3. 위 대상자의 의심되는 질환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필요한 검사들을 목록으로 작성하시오.
4. 3번 목록 중에서 학습하고 싶은 검사를 정해서 검사 전, 중 후 간호에 대해 기술하시오.
5. 4번에서 선택한 검사의 전, 중, 후 간호를 본인의 가족에게 교육을 실시하게 될 시, 가장 이해하기 쉽게 기술해 보시오.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상사례]
<입원경로>
Known HTN 환자로 금일 오전 8시부터 왼쪽 팔과 등으로 방사되는 가슴 통증을 주 호소로 본원 ER로 입원함. (술: 2-3병/1day, 담배: 1갑/1day)
** 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임상병리검사 >
-(중략)-
1. 위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의심할 수 있는 병명과 그 이유를 기술하시오.
대상자에게 의심할 수 있는 주요 병명: 급성심근경색(AMI)
그 이유:
<관상동맥 위험요인>
또 대상자의 고혈압은 관상동맥에 죽상경화증을 유발시키는 위험인자이다. 관상동맥질환의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으로, 고혈압은 혈관의 수축과 이완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동맥벽의 내피세포에 손상을 주어 이곳에 혈액 내 지질침전물의 생성이 증가되어 죽상경화증이 촉진된다.
알코올은 하루 1~2잔 정도 권장하는데, 대상자는 이보다 훨씬 많은 양을 섭취하고 있다.
흡연은 동맥경화증의 진행 과정을 촉진하여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니코틴은 교감신경계를 흥분시켜 혈압과 맥박을 상승시키고, 심근의 산소요구량 증가로 심장의 부담을 가중시켜 관상동맥질환을 악화시킨다.
<증상과 징후: 흉통>
흉통의 부위와 양상, 방사부위 등은 안정형협심증과 비슷하나, 급성심근경색 시 흉통이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한다. 대상자의 경우 오전 8시에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므로, 급성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다.

2. 위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를 주의깊게 사정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자세하게 기술하시오.

CRP는 급성 염증 과정 동안 간에서 생성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중 하나이다.
성인 정상 수치는 <0.5로 이 수치가 증가하면 감염증, 악성종양,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다. CRP는 급성심근경색 발병 1~3일 후 최고 수치로 나타나고, 심장조직의 지속적인 손상이 있는 경우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또한 협심증인 경우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