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문헌고찰
◆질환명 : Aseptic Necrosis of femur bone
1. 정의
2. 특정 및 빈도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및 징후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간호
8. 경과 및 합병증
I. 간호대상자 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활력징후
4. 진단검사
5. 투약
6. 통증사정
7. 배액사정
II. 간호과정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대퇴골 무혈관성 괴사란 일명 무균괴사(aseptic necrosis)라고 하며,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해 대퇴골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무혈성) 뼈 조직이 죽는(괴사) 질환이다. 이 질환은 괴사된 뼈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괴사 부위가 골절되면서 통증이 시작되고, 이어서 괴사 부위가 무너져 내리면서 고관절 자체의 손상이 나타난다.
2. 특정 및 빈도
대퇴골두, 수부 주상골, 대퇴골 과상 돌기(무릎뼈), 상완골두(어깨뼈) 등에서 발생한다. 이 중에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가 가장 흔하다. 이 질환은 대부분 30~50대에게 발생하고,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과도한 음주, 각종 피부 질환, 장기 이식 등이 증가함에 따라 스테로이드제를 많이 복용하기 때문에 최근 젊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한쪽 고관절에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가 진행되면, 다른 쪽의 고관절에도 괴사가 진행될 확률이 높다. 환자의 60% 이상은 양쪽 고관절의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를 겪는다.
3. 원인
대퇴골 무혈성괴사는 원인뿐만 아니라 발생 과정에 대해서도 정확히 밝혀져 있지 못한 상태로, 다만 여러 가지 원인 위험인자가 알려져 있다. 위험인자 중에서도 음주와 부신피질 호르몬제가 전체 원인의 90% 정도를 차지한다. 그러나 아무런 원인적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원인적 위험인자
● 과다한 음주
● 부신피질 호르몬(스테로이드)의 사용
● 신장 질환
● 전신성 홍반성 낭창과 같은 결체조직병
● 신장이나 심장과 같은 장기이식을 받은 경우
● 잠수병, 통풍, 방사선조사
● 후천적 면역결핍증(AIDS)
● 외상 (대퇴 경부 골절이나 고관절 탈구에
자주 합병)
● 매우 드문 겸상 적혈구 빈혈증,
고셔(Gaucher)병 등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