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 정의
2. ICH 발생현황
3. ICH로 인한 삶의 질을 위협하는 문제
4. 병태생리
5. IICP의 임상증상
6. IICP 진단적 검사
7. IICP 주요 치료 및 간호
8. IICP 간호과정(3가지)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에 대한 간단한 정의: ICH(Intracranial hemorrhage, 뇌내출혈)
혈관의 파열에 의해 뇌 안쪽에 생긴 출혈을 말한다. 출혈로 인해 뇌부종이 생기고 그로 인해 두개내압 상승이 발생한다.
2) ICH 발생현황
ICH는 전체 뇌졸중의 10%정도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진 않지만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으며 노인인구의 비중이 절반 넘게 차지하고 있다. ICH의 예후는 나쁘며 첫 48시간 이내 사망이 ICH로 인한 총 사망의 50%를 차지하므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3) ICH로 인한 삶의 질을 위협하는 문제
ICH로 인한 문제는 발생부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시상의 출혈로 감각성 편마비, 시상하부의 출혈로 시각 및 안구운동 장애, 소뇌의 출혈로 심한 두통, 보행능력 상실, 삼킴곤란 등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운동과 감각기능에 장애가 생겨 대상자의 독립적인 일상생활 유지에 큰 어려움이 초래될 수 있다. 다리뇌 출혈의 경우 호흡 등의 기본적인 생명기능에 영향을 받으므로 완전 마비성 편마비, 혼수, 고열, 심할 시 사망까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뇌출혈을 포함하는 뇌졸중의 경우 노인인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데에 반해 치료비가 올라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은퇴 이후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
2. 병태생리
1) ICH(Intracranial hemorrhage, 뇌내출혈) 병태생리
주로 만성 고혈압이나 연령에 따른 뇌혈관의 노화가 초래되면서 정상적인 혈관이나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뇌출혈이 발생한다. 뇌출혈로 인해 밀폐된 머리뼈 안에 혈액 응괴가 생성되며 혈종으로 인해 주변 미세혈관 압박, 뇌압 상승으로 인한 뇌관류압 감소, 비정상적인 뇌자동조절 기전으로 인한 뇌혈류 불안정 등이 유발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