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H A+ 케이스스터디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처치

2. 간호사정
1) 간호력
2) 분만
3) 임상병리
4) 활력징후 및 상황기록
5) Medication & injection

3. 간호진단

본문내용

문헌고찰
임신성 고혈압(PI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1.정의
임신 20주 이후에 나타나는 고혈압. 6시간 간격으로 혈압을 두 번 이상 측정하였을 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산후 12주 이상 지속되지 않고 보통 산후1주에 해결된다
-임신성 고혈압(gestational hypertension)
:단백뇨나 기타 전신적 소견이 없고 이전에 혈압이 정상이던 임부가 임신 20주 이후 고혈압이 발생된 경우
-자간전증(preeclampsia)
:이전에 혈압이 정상이던 임부가 임신 20주 후 또는 산호초기에 단백뇨를 동반한 고혈압이 발생된 경우.
-자간증(eclampsia)
: 자간전증 임부에게 다른 원인이 없이 발작또는 혼수(coma)발생

2.원인
만성 고혈압을 가지고 있거나 나이가 20세 이하인 초임부, 다태임신, 비만, 당뇨병이나 고혈압의 가족력을 가진 여성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3.증상
1) 자간전증(predampsia)
임신 20주 후 고혈압과 단백뇨, 부종등이 나타남
3대증상 : 지속적인 두통, 흐려진 시야, 지속적인 상복부 통증
2) 자간증(eclampsia)
자간전증보다 심각한 형태. 발작과 경련이 동반됌
두통, 흥분, 과민반응, 시야하려짐, 심와부 통증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