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 PPROM
– 여성생식기 구조
2) 대상자의 일반적 소개
– 일반적 사항
– 과거 산과력
– 현재 산과력
– 산전 진찰 기록
– 현재 투여 중인 약물이나 처치
– 기본 욕구에 따른 자료수집
3) 간호 진단 및 간호 중재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임신 주수에 상관없이 진통 전에 양막이 파수 되어 양수가 밖으로 흐르는 경우를 ‘조기양막파열(PROM)’이라고 하는데, 임신 37주 전에 양막이 파열된 것은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PROM)’이라고 한다.
조기양막파열은 미숙아 출산의 원인 중 하나로서, 만삭 임부의 10% 정도, 그리고 만삭 전의 임부에서 20% 정도로 발생하며, 전체조산 원인 중 약 30%를 차지하므로 이에 대한 위험이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높은 유병률에 비해 아직 뚜렷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아 예방이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이다.
또한,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후 12~24시간 이내에 분만이 시작되지 않으면 모체 측의 전치태반의 위험이 약 2~3배가량 높고 감염, 특히 융모막염 및 자궁내막염이 걸릴 확률이 증가한다. 모체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감염은 치명적인데, 자궁 내 감염은 태아사망의 주원인이다. 신생아 사망률의 29%는 임신 34주 전의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으로 기록되어 있다. 26주 전에 만삭 전 조기 파악이 발생했을 때 사망률은 37%까지 높아진다.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은 수술 전, 후 신체적 · 정신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간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이번 케이스 학습의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고, 미래에 간호사로서 도움이 되고자, 미래에 엄마가 될 사람으로서 지식을 얻고자 PPROM을 바탕으로 본 사례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를 통해 PPROM의 치료 과정과 간호과정을 공부하며 산모의 간호과정과 관리적 측면을 공부하도록 하였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
① 정의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은 임신 37주 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은 조산의 원인 중 약 20%를 차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