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심근경색증 문헌고찰

목차

1. 질병 명: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2. 원인과 병태생리
3. 심근경색증의 주요 임상증상
4. 주요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병 명: 심근경색증(myocardial infarction)
종류) 심장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ease, CAD)에는 안정형 협심증, 변이형 협심증, 급성심장동맥증후군이 있다. 급성심장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ACS)에는 불안정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과 심근경색증(MI)이 있다.
정의) 심근경색증은 심장동맥이 완전히 차단되어 심근조직이 비가역적으로 손상되어 경색이나 괴사가 발생하는 것이다.

2. 원인과 병태생리
1) 심근경색증 원인 (사진 출처 : 서울아산병원)
급성 심근경색증의 일반적인 원인은 섬유소 플라크 파열과 혈전 형성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심장동맥 내강이 폐색되어 발생한다.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병, 운동부족, 비만 등에 의해 관상동맥을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되고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나 죽종(atheroma)이 형성되는 죽상경화증이 진행된다. 죽종 내부가 묽어지고 그 주변 부위는 단단한 섬유성 막(fibrous cap)인 경화반으로 둘러싸이게 되는데 경화반이 불안정하게 되어 파열되면 급성으로 혈전(thrombus)이 만들어져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 심근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를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