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2. 본론
1) 자료수집
[1] 임산부 일반정보 사정
[2] 임상검사
[3] 진단검사
[4] 투약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
3. 결론
(1) 느낀점. 실습소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3) 문헌고찰
1. 자간전증(preeclampsia)의 정의
자간전증 preeclampsia, 임신중독증은 혈압이 정상이었던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 140/90mmHg 이
상 혈압이 높아지고 단백뇨 또는 부종이 나타나거나 관련된 증상이 시작되는 경우를 말한다. 자간전증
에 경련이나 발작이 동반되는 것은 자간증이라고 한다. 자간전증과 자간증은 임신 20주 이후에 갑작
스럽게 나타나 임부와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임신 중 자간전증과 자간증의 발생기전은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프로스타글란딘의 영향으로 혈관
수축이 일어나는 것이 가장 신빙성 있는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혈관수축력의 증가, 프로스타글란딘
의 비정상적인 작용, 내피세포의 활성화는 말초혈관의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체 각 장기에 혈액공급을
방해하게 된다.
혈관내피세포의 기능부전으로 모세혈관 투과력 증가와 혈관 내 혈액누출, 혈관 내 응고작용 활성화,
혈관경련이 발생한다. 모세혈관 투과력 증가와 혈관 내 혈액누출이 일어나면 단백뇨, 부종, 혈액농축이
일어나고 혈관 내 응고작용 활성화가 일어나면 적혈구 용혈, 혈소판 응집, 혈소판 감소가 나타난다.
혈관 경련으로는 고혈압이 나타나고 태반관류가 감소되어 자궁내 태아성장지연이 발생하고 사구체 손
상이 일어나 사구체여과율이 감소되며 핍뇨가 나타나기도 한다. 또, 뇌피질경련이 발생하면 경련, 두
통, 과반사(특히 발목)이 나타나며 망막세동맥 경련으로 시야가 흐려지고 암점이 발생하기도 하며 오
심, 구토, 상와부 통증이 일어나 간허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3. 임상증상. 징후
자간전증의 첫 증상은 140/90mmHg 이상으로 혈압이 상승되는 것이고 단백뇨, 혈소판 감소증, 간이
상, 폐부종, 신기능감소, 폐부종 중 하나 이상의 소견이 나타나는 것이다. 증상에 따라 자간전증은 중
증과 경증으로 나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