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PPROM 케이스스터디,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VSIM brenda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2. 본론
1) 자료수집
[1] 임산부 일반정보 사정
[2] 임상검사
[3] 진단검사
[4] 투약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

3. 결론 및 느낀점

4. 실습 후 소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 PPROM은 임신 37주 전에 양막이 파열된 것을 의미하며 조산의 원인 중 약 20%를 차지한다. 대부분 파열 후 분만이 바로 일어나거나 일주일 내에 분만을 진행하곤 한다. 하지만 조기 양막 파열 후 임신 유지를 하였거나 보존적 치료를 하여도 양수 누출이 정지되는 경우가 2.6~11%나 있고 양수천자로 인하여 양수누출이 아예 없어진 경우가 있었다고 보고되었다. 심각한 합병증인 자궁 내 감염이 일어나기도 하고 융모양막염도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시 약 10%에서 발생하며 신생아 패혈증, 신생아 사망 또, 제대탈출, 태반조기박리, 호흡곤란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만큼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은 그냥 넘어갈 문제가 아닌 중요하게 알고 치료 및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문제이다.
미국에서는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이 매년 임신의 총 3%에서 발생하며 조산의 30~40%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실제 임상에 나가봤을 때도 산과병동 전체에서 5명 이상이 조기 양막 파열 PROM이나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 PPROM인 상황을 볼 수 있었듯이 발생률이 낮은 문제도 아니다. 따라서 만삭 전 조기 양막 파열 PPROM에 대하여 연구하여 적절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 연구기간: 2022년 7월 13일 ~ 2022년 7월 15일
– 연구방법: V-sim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