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뇌수막염
2. 세균성 뇌수막염
3.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4. 결핵성 뇌수막염
Ⅲ. 본론
1. 간호 사정
1) 간호 정보 조사지
2) 신체검진 결과
3) 진단검사
4) 투약
2. 간호과정
Ⅳ. 결론
1. 결론 및 제언
2.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중추신경계의 급성감염은 소아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에서 나타내는 발열 원인 중 가장 흔하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의 감염은 바이러스 감염이 세균 감염보다 훨씬 많다. 아동에서 뇌수막염은 주로 2개월~7개월 미만 소아에게서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최근 성인에게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나 뇌수막염은 독감과 비슷한 고열과 극심한 두통, 구토 증상으로 감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초기 치료를 받지 않으면 후유증이 발생하게 되기도 한다. 게다가 세균성 뇌수막염은 주 원인균인 폐렴구균과 B형 인플루엔자균에 대한 예방접종을 만 12세 이하 어린이에 한해 예방접종이 가능하지만, 바이러스성은 예방 방법이 없다. 따라서 뇌수막염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이에 해당하는 환자의 적절한 간호중재에 대해 탐구하고싶어 선정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뇌수막염 (meningitis)
1) 정의
일반적으로 거미막과 연질막 사이에 존재하는 거미막 밑 공간(subarachnoid space, 거미막하 공간)에 염증이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이다.
(1) 뇌수막 (meninx)
– 뇌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
– 해부학적으로 뇌수막은 가장 깊은 곳에서 뇌를 감싸고 있는 연질막 (pia mater), 연질막의 밖에서 뇌척수액 공간을 포함하고 있는 거미막 (arachnoid mater), 그리고 가장 두껍고 질기며 바깥쪽에서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있는 경질막(dura mater)으로 구성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