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1) 가족 위기론과 가족진보론의 비교
2) 학습자 의견
[2]
1) 자유주의적 복지국가-시장 중심 모형
2) 보수/조합주의적 복지국가-지위 중심 모형
3) 사회민주적 복지국가-연대 중심 모형
[3]
1) 대상의 측면
2) 주체의 측면
3) 방법의 측면
[4]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가족 위기론과 가족진보론의 비교
가족의 변화에 대해 가족위기론에서는 가족이 근본적인 구조와 기능, 가치가 쇠퇴하고 있다고 이해한다. 가족위기론에서는 이러한 가족 변화의 원인을 극단적 개인주의와 이기주의, 쾌락주의에서 찾는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이 점점 개인의 만족과 즐거움만 추구하게 되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정 외의 외부 활동을 하게 되면서 가족이 가지는 유대관계가 약화되었다는 것이다. 가족위기론자들은 개인이 자아실현을 하고 자기만족을 추구하는 것이 이혼, 무자녀 부부 가족, 독신 가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가족의 증가를 야기하며, 결혼과 출산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위기론자들이 생각하는 정상가족은 남성은 생계를 부양하기 위해 밖에 나가 일을 하고 여성은 집안에서 가사와 육아를 전담하며 가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성 역할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형태의 핵가족이다. 이외의 형태의 가족은 비정상가족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정상 가족이 감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여성이 능력을 발전시켜서 외부 활동을 하지 못하게 하도록 여성에 대한 고등 교육을 없애고 여성의 사회 활동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피임 기술이 발달해서 아이를 적게 낳으면 여성의 이기심이 커지게 된다고 보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피임 금지법을 제정해야 한다고도 주장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