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여성건강간호학 절박유산 PBL case study_진단5개, 과정1개(24p)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PBL 사례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목록
  4. 간호과정
 
Ⅲ. 결론
  1. 마무리
  2.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여성건강간호의 구체적 목적 중 하나는 모든 임산부가 새로운 상태에 만족스러운 적응을 하도록 하는 것과 임산부의 건강유지 및 태아의 성장발달을 돕고, 다양한 여성질환을 예방하는데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개인 또는 가족으로 하여금 질환과 고통을 예방하고 이러한 경험에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필요하다면 이들의 경험에 대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임상 실습에 임하며 절박유산 및 습관성 유산 임부가 정상분만 임부보다 장기간의 입원이 요구됨을 중시했고, 유산가능성 임부에 대해 의료기관, 가족, 의료진을 비롯한 간호사의 지지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고 그들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입원 과정 중 겪게 되는 임부의 다양한 반응을 관찰하여 간호중재를 통한 치료 효과 증진이 간호의 중요 역할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요즘 증가하고 있는 절박 유산 임부의 정서, 불편감, 간호요구에 대한 파악이 추후 임상에서 간호중재를 통한 실재적인 도움을 주는 데에 기본적이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절박 유산 임부의 정서적 문제, 간호요구, 불편감을 파악하여 입원기간 동안 만족스럽고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도우며, 유산관련 지식을 파악하고 간호요구와 간호사의 수행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2. 문헌고찰
1) 정의
: 임신 20주 이전에 질출혈이 동반되는 것을 말한다. 절박유산은 임신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계류유산, 완전 또는 불완전 유산 등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계류유산은 자궁경부가 닫혀 있는 상태로 수일에서 수주 동안 사망한 임신 산물이 자궁 내에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하고, 완전 유산은 태반이 완전히 떨어지고 임신 산물이 함께 배출된 경우를 말하며, 불완전 유산은 태아와 태반 전체가 자궁 내에 남아 있거나 개대된(열린) 자궁 경부를 통해 일부가 배출된 경우를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