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3. 진단검사
4. 약물
5. 간호과정
6. 결론
7. Reference
본문내용
김00씨는 78세의 여환으로 고혈압, 당뇨, 치매가 있는 분으로 1일 전부터 열이 있어 응급실을 내원했다. 내원 당일 저녁 평소보다 의식 처지고 기운이 없었다고 한다. 진단명 UTI, Urinary tract infection 하에 신장내과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알레르기, 가족력은 없다. 1994년 두 무릎 수술을 한 수술력이 있다. 최근 당뇨약과 치매약을 복용 중에 있다. 흡연과 음주는 하지 않는다. 올해 6월 초 설사로 인해 local 내과 내원하여 r/o AGE 진단 하에 치료 받았으나 이후 식사량이 감소했다고 한다.
입원일인 7월 7일 12:00 V/S은 T/P/R = 37.4도/85회/분/24회/분, BP = 150/80mmHg, SpO2:99%이었다. 키 152cm, 체중 58kg로 추정된다. (입원 시 측정불가능->거동불가능) 지침약 복용금지 설명문 통해 설명하였다. FCT 삽입 후 소변백 바닥에 닿지 않고 침상 난간에 고정하며 삽입위치보다 소변 주머니가 아래에 위치하여 소변 역류 방지하도록 설명했다. 혈액검사 결과 Neutrophil % (10.6▼), CRP (20.9▲), Vitamin B 12 (3849▲)가 관찰되었다. Abdomen-pelvis CT 결과 Mild acute cholecystitis가 관찰되었다. 두통을 호소하여 Tyrenol 650mg PO 투여했다. 20:00 V/S은 V/S은 T/P/R = 37.0/84회/분/20회/분, BP=130/60mmHg이며 통증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당은 125mg/dL 확인되었다.
사정 1일인 7월 8일 07:00 V/S은 T/P/R =37.1도/70회/분/16회/분, BP = 143/82mmHg, SpO2:97%이었다. 도관 삽입 부위 피부상태를 확인하고 소독상태를 확인하며 전신 부종 양상 mild하게 있으나 호흡 불편감 호소 없이 호흡리듬은 규칙적임이 확인되었다. 혈당은 158mg/dL 확인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