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골관절염
1) 정의
2) 골관절염의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2. Total Knee Replacement (TKR)
1) 정의
2) 목적
3) 적응증
4) 금기증
5) 수술과정 및 방법
6) 장점
7) 수술 전 환자 관리
8) 수술 후 환자 간호 및 관리
9) 합병증
10) 환자 교육/건강유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 골관절염 Osteoarthritis >
1. 정의
– 관절염 가운데 가장 흔한 유형
– 연골의 연화와 관절의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새로운 조직이 생성되는 만성적·진행적 과정으로 알려져 있음.
– 관절 내에서의 변화가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일시적인 관절의 삼출 발생
2. 골관절염의 원인
– 원인불명(1차성)과 2차성으로 구분됨
① 원인불명(1차성)
– 관절의 손상, 관절질환 또는 관절염 발생과 연관될 만한 질환의 과거력 없이 발생
– 6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발생빈도가 높음
– 남성 < 여성에서 흔히 발생
- 주로 척추나 체중이 부하되는 큰 관절에 영향을 미쳐서 부가적인 장애를 초래
- 유전적 질환은 아니나 가족력에 의해 영향을 받음
- 성호르몬, 다른 호르몬 인자들이 OA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함
② 2차성
- 여성 < 남성에 더 자주 발생
- 외상이나 다른 염증성 관절질환, 무혈관성 괴사, 또는 Legg-Clave-Perthes 질환과 같은 신경병증적 장애의 결과로 초래됨
- 골절이나 관절에 개방성 손상을 입은 후 발생하는 관절염
- 대상자의 직업이나 스포츠와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손상을 당하여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