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A ESRD.말기신부전 환자 사례연구 보고서 EKG결과헤석 간호과정

목차

Ⅰ. 서론 (환자 소개 및 임상 문제)
Ⅱ.병태생리
Ⅲ. 간호력 (및 병력)
Ⅳ. 임상경과 기록
Ⅴ. 간호과정

본문내용

-간호사례연구 대상자
진단명: ESRD(End-stage renal disease.말기신부전)
연령: 56세 이름: 000

Ⅰ. 서론 (환자 소개 및 임상 문제)
case 대상 환자 000님은 56세 남성입니다.
Impending ESRD (말기신부전 임박) 진단 받은 환자로, 주 증상 없이 PD Cath insertion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sertion. 복막투석위한 카테터삽입)을 위해 입원하셨습니다. 5/7 입원, 5/8 EGD/CFS, 5/9 PD cath insertion, 5/10 투석후 이상없으면 퇴원 예정인 환자입니다.
ESRD환자 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증상도 나타나지 않고, NRS 0점으로 약간의 통증도 없습니다. 5/8예정되어있던 EGD/CFS를 위한 당일 조식,중식의 금식으로 인한 배고픔과 갈증 호소와 내시경 검사 결과에 대한 약간의 불안, 투석치료를 처음 하는것에 대한 불안감 호소가 전부인 환자로서, 겉으로 보기엔 정상인과 다를게 없는 아주 Normal한 환자입니다. PD를 위한 av fistula 시술에 대비하여 Both arm save중입니다.
ESRD의 주 임상 문제인 Hyperkalemia도 약물로 잘 조절되어 potasium 수치도 stable 합니다.

그리하여, 이 환자는 현재
1.위장관계 변화로 인한 변비
2.대사변화로 인한 proteinuria
3.심혈관계 변화로 인한 HTN
등의 임상적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Ⅱ.병태생리
1.1 ESRD의 위험요인은?: 당뇨와 고혈압이 가장 큰 위험 요인이며 나이,비만,가족력등의 요인도 있음.
1.2 만성 신장 질환과 요독증의 병태생리: 만성 신부전의 발병은 신장 기능의 점진적인 손상으로 인한 nephron의 파괴와 관계가 있다.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함에 따라 BUN수치와 creatinine이 상승한다. 더 많은 양의 용질을 여과하기 위해 기능하는 nephron이 비대해지며 결과적으로 신장은 소변을 적절하게 농축하는 능력을 잃게 된다. 용질 분비를 계속하기 위해 많은 양의 희석된 소변이 통과하고 대상자는 수분 소실에 민감해진다. 세뇨관은 점진적으로 전해질을 재흡수 할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염분을 배설하게 되며 소변에는 많은 양의 나트륨이 포함되어 다뇨를 촉진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