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 Case study 대상자 선정 이유
Ⅱ.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건강력
4. 진단 검사
5. 투약력
6. 수술 및 간호
7. 입원 중 경과
8. 입원 중 주요 처치 및 간호
9. 기타 척도
Ⅲ. 간호과정
1. 우선순위 선정
2. 간호과정
# 진단 ①
# 진단 ②
# 진단 ③
# 진단 ④
Ⅳ. 소감 및 비판적사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Endometriosis
1. 정의
자궁내막증은 성장, 증식 및 출혈 등과 같은 기능이 있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외 부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에스트로겐에 의존하는 질병으로 호발 부위는 골반장기와 복막이다. 그 중 난소에 가장 흔히 발생하며, 자궁 인대, 직장 및 질중격, 자궁, 난관, 직장, S상 결장, 골반의 복막, 제와부, 복부절개 반흔부, 탈장낭, 충수돌기, 외음부, 자궁경부, 난관 기시부, 림프절 등에 발생한다.
2. 원인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자궁내막조직의 조직발생학적 근원으로 가장 타당한 학설은 월경혈 역류설, 체강상피 화생설, 혈행성 파종설 등이다.
① 월경혈 역류설
월경혈 역류설은 월경 시 월경혈 및 자궁내막 조직이 난관을 통해 역류하여 자궁내막 세포가 골반 내에 직접 착상되어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자궁경부협착증이 있으며 역류가 더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이 잘 발생하며, 월경 간격이 짧고 월경 기간이 긴 여성은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 자궁내막증의 위험이 더 높다.
② 체강상피화생설
체강상피가 자궁내막조직으로 변형된다는 이론으로 태생학적으로 체강상피에서 기원하는 골반복막의 일부 혹은 배상피세포가 이상 분화되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③ 혈행성 파종설
월경 시 자궁내막세포가 자궁의 혈관 및 임파계를 통하여 원거리 장기 및 장소로 전이된다는 이론이다. 주로 외음, 질, 자궁경부, 충수돌기, 직장, S상 결장, 폐, 늑막강, 피부ㆍ뇌 등으로 파종된다.
④ 유전적 요인
여러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조합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유전적 인자는 생식세포와 체세포 변이를 일으키며, 생식세포 변이는 유전되어 자궁내막증 발생률을 높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