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질병기술
2. 간호과정
1) NANDA 사정양식
2) 정신과적 병력청취
3) 정신상태 검사
4) 약물요법의 부작용 관찰과 간호
5-1) 심리검사
5-2) 기타 검사
6) 가족사정
7) 간호진단과정
8) 간호계획
3. 환자관찰 보고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극성장애(bipolar disorder)
양극성 장애는 조증 삽화와 우울 삽화를 모두 나타내거나 조증 삽화만을 나타내는 정신장애를 말한다. 고양되고 과대하거나 과민한 기분을 경험하는 것을 조증 삽화라고 한다. 조증 삽화 초기에 대상자들은 대부분 기분이 너무 좋고 힘이 넘치고 자신감이 충만하여 행복감에 도취 되었다가 질환이 진행되면서 과민한 기분으로 변화하고 심각한 사회적, 직업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양극성 장애의 우울형의 진단적 특성은 한 가지를 더 추가하는 것 외에는 주요우울장애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동일하다.
1) 소인요소
신경생물학적 소인
a. 유전적 소인
가족 내에서 발생 빈도가 높아 일반 인구에 비해 제Ⅰ형 양극성 장애 대상자의 직계가족에서 출현빈도가 5~10배 정도 높다. 또한,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제Ⅰ형 양극성 장애는 염색체 18, 22 및 X 염색체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 보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b. 신경전달 물질 및 호르몬 소인
특정 신경세포의 시냅스 부위에 serotonin, norepinephrine, dopamine 등의 신경전달물질의 과다, 과소 혹은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serotonin과 norepinephrine의 조절 이상이 양극성 장애 발병과 관련성이 높다.
c. 신경해부학적 소인
변연계, 기저신경절, 시상하부, 뇌하수체 등의 병리와 관계가 있다. CT나 MRI 상 뇌측실의 확장, 좌측 측두엽의 비대, 백질 위축, 피질 용량의 감소 등이 발견되었다. 또한, 전두엽의 혈류량 저하와 전두엽의 활동저하, 변연계의 과활동이 나타났다.
d. 생물학적 리듬
양극성 장애는 일정 주기로 나타나고 계절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대상자들은 수면-각성 리듬에 약간의 변화만 생겨도 아주 민감하게 반응한다. 과다수면은 우울 삽화를 유도하고, 과소 수면은 조증 삽화를 유도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