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Ⅱ. 사정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건강력
4. 진단 검사
5. 투약력
6. 입원 중 처치
7. 입원 중 경과
8. 수술 및 간호
9. 척도
Ⅲ. 간호과정
1. 우선순위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반월상 연골은 대퇴골과 경골 고평부 사이에서 완충 장치 역할을 하는 쐐기 혹은 두 개의 초승달 모양의 연골로 내측 구획에 있는 연골을 내측 반월상 연골, 외측에 있는 것을 외측 반월상 연골이라고 부른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가장 흔한 무릎 부상 중 하나이다. 특히 신체적 접촉이 많은 운동을 하는 선수들은 반월상 연골 파열의 위험이 높으며 나이와 직업과는 상관없이 누구나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될 수 있다.
2. 원인
운동 선수들은 무릎을 과도하게 구부리거나 무릎이 뒤틀릴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태클과 같은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퇴행성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닳은 연골조직은 파열되기 쉬워 의자에서 일어날 때 발생하는 무릎의 어색한 뒤틀림만으로도 연골 파열이 유발될 수 있다.
3. 증상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질 때 퍽하고 터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파열된 반열상 연골을 가지고 걸을 수도, 운동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무릎은 점점 붓게 되며 통증을 느낀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
① 통증 : 거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며, 관절 전체에 뻐근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② 운동 제한 : 통증과 종창으로 걷기 힘들어질 수 있다.
③ 관절 잠김
파열된 연골판 조작이 위아래의 뼈 사이에 끼어 슬관절 운동 중 갑자기 무릎이 펴지지도, 구부려지지도 않는다.
④ 관절 불완전증 : 계단을 내려가거나 뛰어내릴 때, 안정성을 잃고 갑자기 힘이 빠진다.
⑤ 관절 탄발음 : 관절 운동 시 관절에서 소리가 날 수 있다.
⑥ 부종 : 출혈에 의해 부종이 발생한다. 만성일 경우 관절이 붓고 뻣뻣해질 수 있다.
4. 진단 및 검사
1) 문진 및 신체검진
증상과 병력을 파악하고 무릎을 검사한다. 의사는 반월상 연골판이 위치하는 관절면을 따라 눌러 동통 여부를 확인하며 동통이 있을 시 파열이 있음을 시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